 
올 첫 단풍 설악산 9월 26일 시작
전국 대체로 평년보다 1~2일 늦어
평년보다 첫 단풍 1~2일, 단풍 절정 2~4일 늦어 9월과 10월 기온변화 크겠으나, 평년보다 다소 높아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1990년대에 비해 최근 10년 첫 단풍, 단풍 절정시기 늦어져
<출처 ‘케이웨더> |
수도권 산악회에서 산행 참가자중 확진자가 5명이 나왔다고 합니다. 그동안 여러 집단에서 확진자 그룹이 발생했고, 아래 감염취약 요소 차원에서 산악회에도 다른 집단과 다를게 없는바, 올게 오고 말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일이 계속 발생 되고 확산 된다면, 국립공원이나 산행지 출입이 금지 되지 말라는 법도 없으니 더욱 우려가 됩니다.
그동안 생각했던 산악회에서의 감염예방 취약요소를 들자면,
첫번째, 산행지로 이동과정에서의 취약성입니다. 특히, 관광버스로 이동시, 불특정 다수가 몇시간동안 같은 환경에서 지내기 때문에, □ 마스크를 안쓰거나, 제대로 쓰지 않는 사람 □ 마스크를 썼더라도 버스 안에서 꼭 하지 않아도 되는 대화(전화통화)를 하는 사람 □ 버스 안에서 음료(커피)를 섭취하는 사람 □ 휴게소 이용후 손을 안씻고 탑승하는 사람 을 목격했고, 운영진에서 먼저 강력하게 단속하지 않는 이상, 나서서 이야기 하기가 껄끄럽습니다. 특히,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죠. 그래서, 요즘에는 승용차 카풀을 이용하는 밴드 산악회를 자주 이용하는 편인데, 이 경우도 마찬가지 감염 취약요소가 있습니다. 4명 내외가 탑승하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가 탑승하는 관광버스보다는 위험요소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지만, 좀더 밀접하게 접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승용차 카풀 탑승시에도 마스크는 필수로 착용해야 합니다. 아울러 탑승전 손씻기나 소독제를 뿌려서 외부 요인을 줄이는 것도 필요합니다. 두번째 산행중 취약성입니다. 산행중 마스크나 버프를 하는 사람들이 이전보다 많이 늘긴 했지만, 여전히 맨 얼굴로 다니는 사람들을 발견하는건 어려운일이 아닙니다. 물론 야외라서 거리두기를 하면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들긴 하지만, 앞 사람을 교차하는 경우나, 이동 동선중 손잡이나 나무기둥 등에 비말을 남기고 갔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산행중에도 마스크(최소한 버프) 착용은 의무적으로 자리잡아야 할 것입니다. 이제 날씨도 많이 선선해 지고 있기 때문에,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라 생각 됩니다. 세번째는 등산(트레킹) 중이나 끝난 후 음식물을 나눠 먹을때의 취약성입니다. 가장 감염위험이 높은 순간이라 할 수 있는데, 처음에는 어느정도 감염예방을 위한 경계를 하다가, 산행을 하면서 이 경계가 풀어지는 순간이기 때문에 더욱더 위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물을 먹는 도중 마스크를 빼야하고, 긴장감이나 경계심도 처음보다는 풀린 상태로 음식물을 나눠서 먹기 때문에 아무래도 이때가 가장 감염에 취약한 시점이 됩니다. 따라서, 음식물을 같이 먹는것을 무엇보다 자제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 산행중에는 자기가 싸온 음식만 혼자서 먹기 □ 산행후 뒷풀이 하지 않기
<원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jese75/222082681123
|
1. 스탬프 여권 수령방법 가. 수령장소: 전국 21개 공원 / 94개 공원시설 나. 수량/금액: 40,000개 / 무료 * 국립공원 여권 30,000부 추가 배부 시행(9.1., 화~) ** 북한산(6,400부), 계룡산(1,200부), 경주(1,200부) 등 전 공원에서 배부 다. 배포기간: 7.15.(수) ~ 소진 시까지 라. 여권 유효기간: 2023. 9. 30.
2. 스탬프 인증방법 가. 인증장소: 전국 21개 공원 / 94개 공원시설 나. 인증방법: 인증장소에서 공원별 스탬프 도장을 찍어 인증
3. 기념품 수령 가. 신청장소: 전국 21개 공원 / 94개 공원시설 나. 신청방법: 신청서 및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작성
4. 스탬프 투어 대상자 할인 가맹점 가. 참여업체: 268개 업체(요식 201개소, 숙박 15개소, 특산품 12개소, 공산품 24개소 등) 나. 참여방법: 업체를 방문하여 여권을 보여주면 1명에게 1개의 제품을 할인 제공(5~10%)
5. 기타사항: 코로나19로 운영시설이 임시휴관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8개 생태탐방원, 4개 체험학습관, 13개 탐방안내소 운영 중단(9.6., 일까지) 6. 운영방법 및 운영장소 |